가치판단의 차이에 대한 생각은?
by 처사21당구장에서 놀던 고등학생이 담임선생님께 꾸지람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당구장에 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학생은 꾸지람을 하시는 담임선생님이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담임선생님과 학생의 근본적인 가치 판단의 차이를 말해 보시오.
▶답 : 학생의 입장은 합리적 판단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테니스도, 골프도, 수영도, 당구도 모두 사회체육인데 유독 당구를 치는 것만이 나쁘다고 할 수는 없으며, 당구장에서 나쁜 행위를 하지 않았는데 꾸지람을 하신다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보는 입장으로 판단됩니다.
선생님의 입장은 바람직한 행위를 선택해야 한다는 가치 판단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회적 시인을 얻지 못하는 행위는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사회적 부인의 행위는 해서는 안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아마 담임선생님께서는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학생의 당구장 출입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물어보자고 하셨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학생의 당구장 출입을 좋게 보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적하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학생이 물어보고자 하는 대상과 담임선생님께서 물어보고자 하시는 대상이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담임선생님께서는 성인들에게 물어보자고 하셨을 것이고, 학생은 젊은 학생들에게까지도 물어보자고 했을 것입니다. 그것은 교육에 있어 아주 중요한 부분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은 사회화 과정인데 사회에 속하기 전 단계에 있는, 즉 보호자가 있어야 하는 시기의 학생의 의견은 사회적 시인의 문제에서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학생은 자기가 속할 사회에서 인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가치관과 행동 습관을 가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합리적 가치판단과 바람직한 가치판단의 차이점을 확실하게 알도록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히 개인의 주체적이고 합리적인 가치판단 능력의 신장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과거보다 사회가 훨씬 복잡하고 다원화되어 있어 획일적 규범교육만으로는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리적 가치와 바람직한 가치가 다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치하게 되므로, 행위 선택에 있어 바람직한 가치를 전제로 한 것이어야 한다. 바람직한 가치를 전제로 한 선택이 아니라면 윤리의 필요성 자체에 대한 회의를 가져올 수 있다. 왜냐하면 윤리는 인간관계 즉 사회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