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서창고

남학생인데 왜 의류학과를 지망했는가?

by 처사21
728x90
반응형

남학생인데 왜 의류학과를 지망했는가?

 

 : 남학생이어서 더 희소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을 만큼 의상에 대한 관심은 이제 남성에게도 주요한 의미로 다가오고 있는 시대, 즉 패션 시대가 오고 있다. 개성지향의 사회속에서 이런 경향은 우리 나라에서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사람의 체형에 따라서 입는 옷의 색감이 다를 수 있고 스타일도 달리 묘사될 수 있다. 물론 무대 의상이나 전통 의상 등 특수 의상도 있지만 일반적이고 대중성이 있는 의상 기법에 대한 세밀한 연구를 해야 되는 의류 패션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흥미있는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대학의 의상학과를 졸업한 후 시대 패션 학원의 전임 강사가 되어 활동하고 있는 사람도 있다. 그 분은 현재 의류 직물 회사나 패션 회사로 가는 것보다 보수가 낮을 수 있으나 전문가가 된다는 입장과 배우면서 가르칠 수 있다는 직업적 환경을 보고 패션 학원의 전임 강사의 길을 택했다고 하는데 시간이 지나서 경력이 쌓이면 보다 높은 대우도 기대된다고 한다. 의류 패션 디자이너가 되려면 먼저 데상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기본적이고 핵심적 자질이라고 하겠다. 

 

미래엔 남성 의류 패션 디자이너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날 것이다. 왜냐하면 앞으로는 전문가가 만들어주는 옷을 선호하는 남성이 더욱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시대 패션 학원의 경우는 시대 디자이너 클럽을 둘 정도로 전문가 그룹이 잘 형성되어 있는 바 이것은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설학원을 통해서도 다수 배출되고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기도 하다. '나는 누구에게 배웠다. 나는 그분의 문하생이다'라는 자부심이 강한 분야가 이 패션 디자이너의 직업 환경이기는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항상 신선한 아이디어가 요구되는 영역이라는 것이다. 의류 패션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의류학의 이론에 대한 연구는 물론 직물 디자인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옷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속에서 인류가 지금까지 입어온 패션의 흐름을 파악해 갈 수 있는 탐구 정신 이 강하다면 이 분야에서 세계적 명성을 얻을 수 있는 명패션 디자이너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생각해서 지원했다. 인체의 움직임, 미적 감각, 의류학의 기본 이론에 대한 연구, 창의력과 새로운 세계에의 도전 의욕이 있는 인재가 이 분야를 자신의 직업으로 선택한다면 좋을 것이다. 

 

패션 관련 직업에는 패션 디자이너가 되거나 패션 비즈니스 연구원으로 나가거나 패션 코디네이터가 되거나 패션 평론가로 가거나 패션 학원의 전문 강사가 되는 길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고 하겠다. 만약 창업을 계획하고 있다면 입체 제단의 기술을 전문적으로 강의하는 학원을 창업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패션 하면 흔히 의류 패션만 지칭하기 쉬운데 의류 패션뿐만 아니라 장신구, 생활용품 모두가 패션의 범주에 들 수 있다. 의류 패션 디자이너는 의류 회사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패션 비즈니스 연구원 리바이스트라우스 같은 회사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의류 패션 시장은 양적으로 발전하면서도 그 시장의 질이 향상되고 있다. 이미지 중시의 시대 상황속에서 남성의 보다 많은 진출이 요구되는 직종으로서 의류 패션 디자이너라는 직업 환경은 크게 발전되어 갈 것이다고 봐서 지원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