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심리학이라는 학문을 하고 싶은 이유는?
by 처사21산업심리학이라는 학문을 하고 싶은 이유는?
▶답 : 산업심리학과에 진학하면 실험설계법, 조직심리학을 배우게 되므로 기업문화팀으로 진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미지에서 지면, 좋은 제품이라도 경쟁에서 앞서가기가 힘들어진다. 이미지는 첫인상으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고 홍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기업들은 그들 자신의 홍보 전략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기업문화실에 새로운 인력 보강 계획을 세워가기 시작했다. 하루아침에 할 수 없는 일이 이미지(image)에 관한 일이고 보면 우선 섬세한 감각을 가진 인재 채용이 늘어나고 있는 부서가 기업 내 문화실이 아닌가 싶다. 소비자들이 기업 문화에 관심을 보이면서 기업 문화 전문가 수요는 점증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런 기업문화파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첫째, 우리 문화는 한글 문화와 한자 문화권이 혼재되어있는 상황이므로 한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기업문화부 인력으로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둘째, 국어 문법에 대한 수강이 필요하다. 맞춤법의 변화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으면 작문 테스트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경영 이념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경영자의 철학이 중시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파악해 두는 것이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해외 기업 문화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좋은 기업 이미지 메이커로 성장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유무역주의 정책의 세계 경제 상황 속에서 타기업 문화와 차별화된 문화 특성(character) 없이 그 기업 문화가 일반 소비 대중에게 전이되기란 여러 애로에 봉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섯째, 채용하는 방식을 보면 일단 특채의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에서 기업 사보를 만드는 파트나, 기업문화부, 기업홍보실 등에서 인력을 뽑는 방식 중 대부분이 수시 채용이고, 일괄 공개 채용 후 발령을 내는 회사는 소수에 불과하다.
기업문화 전문가에 관한 채용 정보가 나오는 것을 보면 1~2명 채용에 학과 제한은 없으나 심리학, 사회학, 국어국문학 등 인문 사회계 출신의 학생을 선호하는 편이다. 어문계 학생들도 지원이 가능하다고 하겠다.기업 문화 전문 사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건전한 사고를 가진 기업의 문화에 대한 풍부한 지식기반을 가진 젊은이인가가 최종 선택의 핵심적 내용이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문화 이벤트, 문화교류, 아이템 이미지 메이킹 신제품 소개, 경영지침의 전파, 회사의 창업 정신 고양 등 문화전문가의 활동영역은 넓다고 하겠다. 기업의 역사 편찬 작업도 기업문화전문가에게는새로운 영역으로 떠오르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소질이 좋은 인력을 자기 기업에 선발하기 위해서도 기업의 이미지는 매우 큰 의미로 부각되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