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서창고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고찰

by 처사21
728x90
반응형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고찰

 

 

매체에서 묘사하는 여성의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체 이미지와 사회적 현실 사이에 어떤 함수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면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이미 여성에 관한 이미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 왜곡되고 있으며 또 잘못 전달되고 있는지를 살폈기 때문에 여성 이미지가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허상임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미지가 여성 역할을 반영하는 사회적 가치를 제시하기 때문인지, 혹은 사람들의 행동과 태도에 모형을 제공하는 사회적 본보기를 매체 이미지가 만들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여권론자들은 이미지와 사회적 현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할 것이라고 전제한다.

 

더욱이 이러한 이미지는 실제로 현장에서 취업하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들 부류가 사회적 신화를 창출하는 대상이라고 전제하더라도, 이들 취업인이 등장하게 된 사회 조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중 매체에 의해서 그려진 여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것은 매체 이미지와 이러한 것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된다.

 

사회학자와 의사소통 전문가들이 매체에 등장하는 여성상을 설명하는 데에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시각은 반사(反射) 가설, 성역할 학습론, 매체 조직에의 성차별적 접근, 그리고 매체 조직의 사회경제적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반사(反射) 가설

 

이 가설은 대중 매체가 일반인들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매체에 제시된 이미지는 일반인들 사이에 수용되고 있는 최대다수적 자질을 갖춘 이상형을 구현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는 매체의 자본주의적 속성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최대 다수의 소비자 대중에 호소력을 가질 수 있는지의 여부에 전적으로 의거한다. 가브너(G. Gerbner)에 의하면, 일반인들이 수용하고 있는 이상형적 자질은 상징적 표현 속에 통합되어 있다고 한다. 매체가 만드는 이미지는 가장된 것으로서 허구로 남아 있지만, 반사 가설에 의하면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신념 체계와 이미지를 재현한다고 주장한다.

 

 

성역할 학습론

 

여권론자들에 의하면, 매체에 등장하는 성차별적 이미지는 역할을 모델화하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전제한다. 다시 말하면, "매체가 제시하는 시대착오적이고 전근대적 역할을 모델화하여 내면화했을 때 여성이 이룩해 낼 수도 있는 업적을 저지하거나 방해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매체는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로 하여금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서 남성과 연관시키거나 가족이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매체에 등장하는 성역할 고정 관념에 여권론자들이 반대하는 데에는 이러한 기존의 고정 관념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고정 관념에 입각하여 행동하도록 모델화할 것이라는 논리에 입각하고 있는 것이다.

 

 

 

매체 조직에의 성차별적 접근

 

이 관점은 매체 내부 조직에 존재하는 성불평등을 연구함으로써 매체 내용에서 발견되는 성차별주의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매체에 등장하는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그 조직 속에서 형성되는 사고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여성이, 이념과 이미지를 결정하고 제작하는 매체 내부 조직 권력층에서 배제되어 있다면 여성들의 관점이나 경험은 매체 조직이 만들어내는 이념과 사고 구조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권력층에 집권하고 있는 사람들은 일종의 공유된 세계관을 가지게 되어서 이들이 만들어내는 이념이나 사고는 지배 엘리트의 가치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이 매체 조직에서 종속적 지위에 놓여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여성들은 성분절된 직종에 종사하여서 텔레비젼과 라디오 방송국 및 그 밖의 주요 방송 조직에서 기자, 작가, 아나운서와 경영인의 위치에 지극히 소수만이 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매체 조직 내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이 조직이 지향하는 가치를 수용하도록 사회화되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과 태도는 조직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음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사회경제적 접근법

 

이 관점에 의하면 소비하기 위해서 만들고 이를 팔아서 이윤을 취하는 상업 제품과 일치하는 이미지를 조장하는 것은 광고주의 이해 관계(수지타산 관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의 다수가 특정의 가치, 이를테면 강박적일 정도의 청결함 등을 조장하여서 결과적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시장에 있는 수십 가지의 가사 청결제를 보고 구매의 필요성을 창출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병리학적일 정도로 청결에 신경을 쓰는 주부를 매체에 묘사하는 것은 생산된 제품을 팔고자 하는 제조업자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여성이 상업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착취당하고 있는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치는 여성의 노동과 봉사를 가정에만 국한시키는 한편, 성적 자질이나 성적 욕구를 포함한 모든 것을 상품화할 수 있다는 대상으로 파악하는 자본가의 의도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