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서창고

스티븐 킹(Stephen King), "유혹하는 글쓰기(On Writing)"

by 처사21
728x90
반응형

스티븐 킹(Stephen King), "유혹하는 글쓰기(On Writing)"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는 말은 공부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고루한 상투어일 뿐이다. 물론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 하지만 이론은 보다 깊은 혜안(慧眼)을 준다. 한 분야에서 일가견을 지닌 사람들이 쓴 󰡐이론서󰡑는 특히 그렇다. 세상에 글쓰기 책은 참 많다. 하지만 이런 유의 책은 <강을 건널 때 쓰는 뗏목>과 같다. 강을 건너고 나면 뗏목에는 신경 쓰지 않듯이, 일단 글쓰기가 궤도에 오른 후에는 제대로 읽게 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여전히 별 볼일 없지만 이제는 심심치 않게 '청탁'도 받는 정도로 '전문 필자(?)'가 된 나로서도 이 점은 예외가 아니다. 나는 글쓰기에 대한 책을 읽은 적이 거의 없다. 있다면 대학 시절 본 에코의논문작성법과 안정효의 번역의 기술정도다. 왠지 이런 글을 보면 풋내기들에게 󰡐자식들, 많이 커봐라!󰡑하고 무용담을 늘어놓는 퀘퀘한 노땅들 보는 듯해서 닭살 돋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글쓰기에는 백 마디 말보다 한 마디 󰡐첨삭지도󰡑가 더 효과 있다는 편견도 한몫했을 것이다. 게다가 대부분 글쓰기 이론서가 번역 책이라는 점도 마음에 걸렸다. 우리말과 외국어 글쓰기는 문장 호흡부터 다르다. 외국의 작법이 우리말에도 통한다는 법은 없는데 뭐 굳이 외국 이론서를 볼 필요가 있겠나... ... 뭐 이런 저런 이유로 나는 좀처럼 <작문>에 관한 책을 보지 않았다. (사실 별 재미도 없었고. )

 

도서평론가 이권우 선생님의 권유가 아니었다면 나는 유혹하는 글쓰기도 보지 않았을 거다. 나는 그의 현란할 󰡐말발󰡑에 넘어가서 이 책을 사고 말았는데, 결론적으로 그는 괜찮은 선물을 던져준 셈이다. 무지하게 재미있게 이 책을 읽었으니 말이다.

 

스티븐 킹은 구구절절한 할머니 잔소리마저도 구수한 옛 이야기로 바뀌어 놓을 만한 재주를 지닌 사람이다. 유혹하는 글쓰기도 그렇다. 어디까지가 딱딱한 이론 설명이고 어디부터가 󰡐이야기󰡑인지 구분하기조차 쉽지 않다. 스티븐 킹이라는 유명인사의 신변잡담에 귀 기울이고 있다 보면 어느덧 글쓰기의 핵심은 미쳐 󰡐머리 쓸 겨를 도 없이 이해 되어 버리고󰡑 만다.

 

쓸 때 마다 번번이 받는 출판사의 󰡐거절 쪽지󰡑 (거절 쪽지를 벽에 못을 박아 끼워놓곤 했는데, 나중에는 차고 넘쳐서 꽂을 수가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 거절의 메시지마저도 자기 글에 대한 󰡐반응󰡑이 있다는 사실 하나로 우쭐해 하는 모습, 첫 원고료를 받았을 때의 그 감동은 글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생히 공감(sympathy)할 수 있을 터이다. 누구에게나 공통된 경험이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듯 3-4시간씩 일정한 시간에 글쓰기를 하는 자신의 모습, 그렇게 쓸수록 글솜씨도 는다는 조언, 젊은 시절 글의 속도감을 높이라는 뜻으로 거절 쪽지에 편집자가 적어준 󰡒수정본=원본-10%󰡓라는 󰡐문학적 비아그라󰡑 공식 등등, 한없이 딱딱해 질 수 있는 내용을 그는 일상에서 친구와 노닥거리듯 자연스럽게 전해준다. 󰡐수동태를 피해야 한다.󰡑, 󰡐부사를 피하라.󰡑, 󰡐문단은 모양도 중요하다.󰡑는 등등의 소소한 조언도 빠뜨리지 않고 말이다.

 

그는 플롯(plot)에 따라 짜 맞추어 나가는 글쓰기를 혐오하고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풀리는 데로 써나가는 것을 좋아한다고 했는데, 그래서인지유혹하는 글쓰기에서도 전혀 억지스러움이나 어색함을 느낄 수 없다. 논리에서 의도성을 다분히 느낄 수밖에 없는 따분한 󰡐이론서󰡑를 그는 화장실에서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정도의 󰡐수필󰡑로 바꾸어 놓았다. 그러면서도 노련한 대가답게 이야기 할 것을 놓치는 법도 없다.

 

번역자의 역량도 돋보인다. 풋내기 역자들은 원문에 대한 강박관념 때문에 직역투를 피하기 어렵다. 하지만 역자(김진준)는 자신에게 쏟아질 수 있는 전문 역자들의 날카로운 눈초리를 가볍게 무시해버릴 수 있는 강심장을 지닌 사람인 듯하다. 그리고 자신의 신념(?)에 따라 가장 적확한 우리말로 옮겨놓는데, 오히려 그 편이 대부분 아마추어일 것인 이 책에 독자들에게는 훨씬 더 자연스럽고 편안하다. 한 마디로 󰡐그 저자에 그 역자󰡑라 할 수 있겠다. (둘 다 뛰어나다는 뜻이다.)

 

물론 비판할 점도 적지 않다. 성과에 늘 좇기는 미국 작가들 특유의 완성도 떨어지는 구성을 우리는 이 책에서도 엿볼 수 있다. 별 상관없는 듯한 자신의 교통사고를 󰡐빌미로󰡑 억지결론 맺는 것도 그렇고, 󰡐생애󰡑, 󰡐글쓰기󰡑, 󰡐교통사고 이후의 삶󰡑이라는 따로 노는 듯한 3단 구성도 󰡐억지 책 만들기󰡑라는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필자 개인의 창작 방법을 지나치게 일반화시킨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렵겠다.

 

그럼에도 이 책은 충분히 읽을 만하다. 그가 강조하는 글쓰기 기법이 스티븐 킹이라는 우리 시대 최고 대중 작가의 일상에 어떻게 녹아들었고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큰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작가가 되려면 많이 읽고 쓰는 방법밖에 없다.󰡑, 󰡐글을 쓸 때는 한 번은 서재 문을 닫고 쓰고 한번은 열어놓고 써라.(쓸 때는 집중해서 쓰고 퇴고 단계에서는 비판이 필요하다는 듯이다.)󰡑, 󰡐퇴고는 (자신의 원고가) 어느 고물상에서 구입한 골동품처럼 낯설게 보일 정도로 충분한 시간을 묵힌 후에 해라.󰡑는 등등 어느 시대 어느 작가에게라도 적용될 만한 금언들을 발견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지적 기쁨이다.


 

이 서평은 안광복(중동고 철학교사, 서강대 철학과 박사과정)이 작성한 것입니다. 상업적인 목적이 아니라면 얼마든지 이용하셔도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