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서창고

다른 사회의 문화를 이해할 때 언제나 그 사회의 특수한 환경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by 처사21
728x90
반응형

다른 사회의 문화를 이해할 때 언제나 그 사회의 특수한 환경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 (문화의 개념을 말하고 문화 이해의 상대적인 입장을 취해야하는 이유를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통해서 말한다.)

문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생성된 그 사회 구성원들의 생활 양식이다. 현재의 문화는 주어진 환경에 적응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따라서 그 사회의 환경을 이해하면 자기와 다른 그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게된다. 이것이 문화의 상대주의적 태도이다.

 

문화 상대주의는 일반적으로 정당한 태도로 인정되지만, 그것에도 넘어서는 안 될 선이 있다. , 극단적인 문화 상대주의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한 보편적 가치에 어긋나는 것까지 존중해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세계 각 지역의 문화는 그 나름의 특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여러 사회의 다양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그 사회의 맥락에서 그것을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반적인 평가를 전혀 할 수 없다면 그것도 곤란한 일이다.

 

예를 들면, 인도에는 그 사회의 특수한 종교관을 반영하여 아내가 남편을 따라 순사 하는 풍습이 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이를 인도인들에게는 나름대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극단적인 문화 상대주의에 대해서는 찬성할 수 없다. 인도의 순사 풍습은 가부장제적인 폐습이고 살인을 미화하는 악풍이다. 인도인들은 아내가 죽은 남편을 따라 죽지 않으면 남편의 영혼이 저승에서 안식을 얻지 못하고 방황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순사를 정당화하는 명분이 될 수는 없다. 순사는 아내도 하나의 인격체라는 것을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 , 아내를 남편은 종속물이나 재산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순사는 설사 그것이 자발적인 행위라 하더라도 제도적인 폭력에 강요당한 것이다. 이것은 인도주의에 반하여 인명의 존엄성을 심각히 모독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 사회의 문화를 이해할 때 문화의 상대성에 입각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잔인함과 폭력, 미신, 광기를 옹호하는 변론으로 쓰여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문화의 속성 중에는 인간이 야만의 몽매로부터 탈출하여 자신의 존엄성을 확장시켜 온, 반 인간성과 인간성의 대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하여 자유와 평등, 인권, 민주주의 등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는 틀 안에서 문화의 상대성을 고려하는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 문화 상대성과 관련하여 극단적인 상대주의는 인간의 보편적 가치에 비추어 그에 반하는 것은 인정되어서 안 된다고 본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