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을 사랑하는가?
by 처사21동물에 대한 애정은? 수의사에 대한 생각은?
▶답 : 애완용 동물을 사랑하려면 많은 정성을 필요로 한다. 그들이 몸이 아프면 가축병원에 데려가야 하고 식생활 관리 를 철저히 해줘야 한다. 아파트 문화가 가져온 생활 환경 가운데 난을 키우거나,애완견을 키우는 일, 금붕어 기르기와 더불어 기타 애완동 물 선호 경향은 상당히 늘고 있다. 물론 수의사의 직업 전망은 애완용 동식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축산업 의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집에서 기르는 소의 여러 가지 질병 중 아까바네병이 한번 나타나면 순식간에 퍼져서 큰 재산 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런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는 수의사의 전문적인 예방이나 치료가 필요한 것이다.
수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수의학과에 진학한 후 동물학에 대한 생체 리듬, 동물별 생체 구조 특성, 동물에 관련된 각종 질병에 대한 이론과 치료 실습, 임상 실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미 유럽 각국에서는 동물에 관한 임상 연구가 상당히 진척되어 많은 연구 결과가 나와 있고, 수의사가 상당히 활발하게 일하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 전문인의 수효가 많지 않다. 독일의 기술 제휴를 받고 있는 한국 베링거 인겔하임 같은 의약품 제조 회사에서는 동물 약품 파트가 있어서 꾸 준히 수의 약품 제조에 몰두하고 있다. 독일은 의약품 산업이 꾸준히 발전 추세를 보여왔는데 특히 수의학 분야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따라서 수의학 의사가 되고 싶으신 분은 한국에서 수의학과를 졸업 후 독일 유학을 다녀올 수 있으면 더욱 좋을 것이다. 축산 산업의 건실한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인력은 수의학을 전공한 인재이다. 수의사가 된 후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에 수의학과 교수로 진출하거나, 개업 후 수의학과 강의에 외래 초빙 강사로도 자연스럽게 출강할 수 있을 것 이다. 수의사가 되길 원하는 사람들은 TV 프로 중 동물의 왕국 같은 프로를 어린 시절부터 시청하면서 자연을 접할 기 회를 많이 가질 수 있다면 폭넓은 영감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젖소의 정상 분만과 이상 분만에 대한 임상학적 연구나 동물의 예방 의학에 대한 연구 등을 하게 되는 수의사 공 부 과정은 평소에 동식물학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 갈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수의사가 된 후 대규모 농장을 경영한다면 직업적 비전은 어떨까? 필자가 보기에는 매우 합리적인 직업 설 계라고 생각한다. 목장 관리의 상당 부분이 사료의 원활한 공급이나 가축의 질병에 관한 일들, 농축산물의 유통에 관한 일이 많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일찍이 우리 나라의 의약 산업에 선구자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주식회사 녹십자는 동물 의약 연구에도 꾸준한 투 자를 해오고 있는데 녹십자 수의 약품 주식회사 같은 곳에서는 수의학 전공자를 특채해 오고 있다. 수의학은 인체의 건강 관리에도 매우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갖고 있는데 우유 산업계에서도 수의학 전공자의 선호 경향은 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도 수의사직을 채용하고 있는 바, 이 분야 전문가의 수요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다. 수의사가 되면 소, 개, 토끼, 고양이, 돼지, 사슴, 닭 등 여러 동물들의 생활상이나 리듬을 파악하고 항상 새로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가를 세밀한 관찰을 통하여 살펴야 한다. 같은 호수의 육우라도 헤어포드와 앵거스가 각각 사양 방법과 질병 유형이 다르듯이 동물의 산지와 품종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질병을 앓을 수 있음을 연 구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는 애완동물의 종류나 애완동물 애호가도 수적으로나 양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수의사의 손길이 더욱더 필 요할 것이므로 여러 수의 전문 병원이, 혹은 연구소가 생겨날 것이다. 직업으로서의 미래의 수의사는 사람들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는 이미지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독서창고
처사21